사람들은 흔히 욥을 ‘고난과 축복’의 상징으로 기억합니다. 그는 이전에 누렸던 풍성한 축복을 하루아침에 모두 잃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낙심하지 않고 인내하였고, 결국 더 큰 축복을 회복하게 되었습니다. 욥이 경험한 고난의 깊이는, 그가 누렸던 축복이 크고 풍요로웠던 만큼 더욱 깊고 극적으로 다가옵니다. 그래서 욥의 마음을 가장 잘 대변하는 말씀으로 자주 인용되는 구절이 욥기 23장 10절입니다. 이 말씀은 찬양으로도 자주 불리며, 많은 이들에게 위로와 확신을 줍니다.
“그러나 내가 가는 길을 그가 아시나니 그가 나를 단련하신 후에는 내가 순금같이 되어 나오리라” (욥기 23:10)
이 고백은 현재의 고난에 굴복하지 않고, 오히려 인내함으로써 더욱 순결하고 견고한 믿음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는 확신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욥기를 읽는 많은 사람들에게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은 이것입니다.
“왜 욥은 잘못한 것이 없음에도 고난을 당했는가?”
사단은 욥의 신앙이 진실된 것이 아니라, 단지 그가 누리는 축복 때문에 유지된 것이라고 의심하며 하나님께 도전합니다. 사단의 논리는, 만일 그 축복이 사라진다면 욥은 반드시 하나님을 저주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처럼 사단은 고난은 단순한 재앙이 아니라, 하나님을 떠날 수도 있음을 도전하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질문이 생깁니다.
왜 하나님은 이토록 악의적이고 고통스러운 시험을 허락하시는가?
하나님은 전능하신 분이시며, 사단의 도전 자체를 막으실 수도 있었을 텐데 말입니다.
욥은 고난의 원인과 과정을 다 이해하지 못하지만, 그 고난을 ‘단련’으로 받아들이고, 그 과정을 통해 오히려 순금같이 되어 나올 것이라고 고백합니다.
이것은 고난의 의미를 단순히 결과적인 ‘더 큰 축복’으로 환원시키지 않고, 하나님의 손길 아래서 이루어지는 성숙과 정결의 과정으로 바라보는 것입니다. 욥은 고난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작정과 뜻을 신뢰하며, 그 뜻이 선하다는 사실을 고백하고 있는 것입니다.
결국, 욥기의 핵심은 단순한 “왜 고난이 오는가”라는 질문을 넘어서, 그 고난 속에서도 어떻게 하나님의 뜻을 신뢰하며 반응할 것인가에 대한 신앙의 고백으로 귀결됩니다. 욥은 고난을 통해 하나님의 손에 의해 더 순결한 믿음으로 빚어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제목 | 날짜 | 조회 수 |
---|---|---|
한 영혼 어린아이 | 2025.05.04 | 10 |
그가 아시나니 | 2025.04.27 | 118 |
과부의 헌금 | 2025.04.06 | 48 |
주신 인생에서 할 일 | 2025.03.30 | 32 |
네 행복을 위하여 | 2025.03.23 | 36 |
너희를 택하심은 | 2025.03.16 | 24 |
좁은 문으로 가라 | 2025.03.09 | 25 |
그들에게 이르라 | 2025.03.02 | 22 |
십자가 그늘 아래로 | 2025.02.23 | 22 |
절망 속에서 부르는 희망의 노래 | 2025.02.16 | 34 |
가장 큰 계명 | 2025.02.09 | 20 |
여호와께서 우리를 기뻐하시면 | 2025.02.02 | 35 |
사명의 신앙 | 2025.01.26 | 34 |
내가 어찌 아끼지 아나하겠느냐(요나2) | 2025.01.19 | 37 |
소망을 굳게 잡으라 | 2025.01.05 | 68 |
용서하라, 그리고 자유하라 | 2024.12.08 | 71 |
주라 그리하면 | 2024.12.01 | 43 |
하나님의 편에 선 사람 | 2024.11.24 | 36 |
후에는 따라 오리라 | 2024.11.10 | 54 |
순종하면 비로소 보이는 것 | 2024.11.03 | 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