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추수감사절

행복한교회 2021.11.27 20:14 조회 수 : 127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종으로 살다가 하나님의 백성이며 자유인으로 살게된 것을 기념하도록 세 절기를 지키도록 했습니다. 그것이 유월절, 칠칠절, 초막절입니다.(신16:16)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은 지금까지 이 세 절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리스도인이 이 세 절기의 의미를 되새기는 것도 쉽지 않을 뿐더러, 대부분 농경사회를 벗어난 현대인에게 추수의 감사를 되새기는 것도 잘 맞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이스라엘은 4-5월에 보리를 6-7월에 밀을 9-10월에 과일을 거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5월에 보리를 수확하고 11월에 쌀을 수확합니다.) 그래서 한국교회는 맥추감사주일(6월)과 추수감사주일(11월)을 지키며 감사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습니다. 더구나 성경을 읽다가 이 절기가 여러이름으로 불려지는 것에 적잖게 당황하게 됩니다.(유월절-무교절, 맥추절-초실절-오순절-칠칠절, 수장절-초막절-장막절) 

이렇듯 이스라엘 백성과 정서적으로도, 역사적으로도 동감하기 어려운데다  이렇게 복잡하게 불려지는 절기가 ‘우리의 신앙생활에 어떤 의미를 주는 가’라는 질문에 늘 주저하게 됩니다. 

더구나 감사할 것이 많고 열매들이 많을때야 감사주일도 의미가 될것이지만 요즘같이 감사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은 상황 속에서 감사의 제목을 찾는 것은 부담이며 어려운 일입니다. 우리는 이 상황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습관적으로 하던 일이기도 했고 앞으로 주실 축복을 기대하며 염원을 담아 감사의 제목을 적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2000여년 전 이스라엘 백성은 의례히 지켜야 할 절기이며 의무였던 초막절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광야에서 40여년을 장막에서 살던것을 기념하는 절기였습니다. 회당에서 전도서를 낭독하고 희생제사를 지내며 8일을 기념하며 보내야 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날 실로암 못에서 물을 길어 제단에 붓는 마지막 행사만이 남아 있었을 때였습니다. 이제 모든 지루했던 과정이 끝나고 자유롭게 될 마지막 순서만이 남았던 것입니다.

그런데 그때 그들 앞에서 예수님이 이렇게 말씀 하셨습니다.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오리라”(요7:37-38)

 

지금도 예수님은 우리의 추수감사의 절기 한가운데에 오셔서 이렇게 말씀하고 계십니다. 

의무와 습관에 젖어있는 우리의 신앙생활에 생수의 강이 흘러나올 것이라고 선포하십니다.

제목 날짜 조회 수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 2022.02.05 123
광야에서도 너희가 2022.01.20 112
부자와 나사로 2022.01.09 146
돌아올 길을 지키시는 하나님 2022.01.08 102
성도의 노정 2022.01.08 149
사가랴의 노래 2022.01.08 214
예수님의 흔적-용서 2021.12.11 135
천국은 2021.12.11 134
추수감사절 2021.11.27 127
나다나엘의 꿈 2021.11.20 153
애통의 은혜 2021.11.20 165
그리스도의 형상 2021.11.20 99
다시 벧엘로 2021.10.19 123
여호와께서 여기 계시거늘 2021.10.19 136
선택 2021.10.02 137
완전한 평안 2021.10.02 121
유대인 절기의 특수 2021.10.02 149
고결한 야만인 2021.10.02 151
인생의 변곡점 2021.09.11 617
하나님 앞에 서라 2021.08.30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