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생크 탈출(The Shawshank Redemption)은 1994년 개봉한 스티븐 킹의 소설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을 각색한 영화입니다.
주인공 앤디 듀프레인은 누명을 쓰고 쇼생크 주립교도소에서 20년을 보낸 후 결국 탈옥에 성공합니다. 그리고 교도소 친구인 레드와 멕시코의 휴양지에서 다시 만나는 것으로 영화는 끝납니다. 하지만 이 영화를 소개하는 이유는 단순히 탈옥이라는 주제만을 담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주인공의 짜릿한 탈옥 뒤에도 친구 레드의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쇼생크 탈출’이라고 번역된 제목은 사실 ‘쇼생크 구원’이 정확한 번역입니다. 그리고 ‘쇼생크’라는 이름도 애굽 22대 왕인 시삭이며 그는 이스라엘을 침공한 왕입니다.(왕상14:25,26)
그렇게보면 영화는 이스라엘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제 막 애굽을 나온 이스라엘 백성의 이야기와 두 나라로 나뉘어진 이스라엘을 침공한 쇼생크의 이야기가 겹쳐있습니다. 즉 잊고 싶지만 잊을 수 없는 나라가 애굽(이집트)이며 그들에게 진정한 구원은 무엇이며 자유는 무엇인지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모세는 신명기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당부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과거의 발자취와 앞으로의 발걸음에 호소하며 진정으로 자유하며 구원받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쇼생크라는 애굽의 감옥을 빠져나오는 이스라엘 백성처럼, 우리에게도 그 메시지는 동일합니다.
예수그리스도를 통해 구원받은 하나님의 백성이 기억하고 알아야 할 메시지입니다.
제목 | 날짜 | 조회 수 |
---|---|---|
결국 사랑이다 | 2024.06.09 | 57 |
너희가 먹을 것을 주라 | 2024.06.02 | 56 |
아내들이여, 남편들아 | 2024.05.26 | 59 |
본 받는 자가 되라 | 2024.05.19 | 55 |
자녀와 부모 | 2024.05.12 | 153 |
한 영혼 어린아이 | 2024.05.05 | 173 |
그날에는 | 2024.04.21 | 79 |
너희에게 오리라 | 2024.04.13 | 181 |
나의 의가 내 대답이 되리이다 | 2024.04.07 | 54 |
누구를 위해 부활하셨는가 | 2024.03.31 | 40 |
행복한 교회, 웃는 교회 | 2024.03.17 | 62 |
어떤 사람의 질문 | 2024.03.10 | 41 |
기억하고 알라 | 2024.03.03 | 45 |
하나님의 약속과 다윗의 고백 | 2024.02.25 | 56 |
절망의 끝 | 2024.02.21 | 47 |
일을 이루려 함이라 | 2024.02.11 | 64 |
온전한 성도가 되어 | 2024.02.04 | 61 |
그들이 믿지 못하는 것은 | 2024.02.02 | 58 |
여자여 나와 무슨 상관이 있나이까 | 2024.01.21 | 93 |
내가 이제야 아노라 | 2024.01.14 | 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