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를 준비하는 학생에게 열매는 ‘합격’입니다. 또한 직장을 준비하는 졸업생에게 열매는 ‘좋은 직장’입니다.
여기서 열매는 ‘목표’로 하는 것, 즉 간절한 소망을 뜻합니다.
그렇게 본다면 성도에게 열매는 무엇일까요? 성도는 무엇을 간절히 소망하고 있나요?
사실 예수님은 이 열매에 대해 ‘좋은 나무는 당연히 좋은 열매를 맺는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마7장) 좋은열매를 맺기위해 열망하기 전에 먼저 좋은 나무에 접붙임을 받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좋은 열매를 얻기위해 노력하기 보다 좋은 나무에 접붙임을 받는 것 곧 예수님께 접붙임을 받으면 당연히 좋은 열매를 맺게 된다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의해야할 것은 그 과정입니다. 우리가 흔히하는 실수는 ‘좋은 열매를 맺기위해 과정도 당연히 좋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단적으로 말하면 좋은 열매를 맺기위해서는 비바람도 불어서도 안되며 폭풍우가 몰아쳐서도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결국 자신이 좋은 열매를 맺으려는 의미없는 노력일 뿐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해야할 일은 ‘좋은 열매’를 주실 것을 믿으며, 그 믿음을 잃지 않도록 인내하는 일입니다. 믿음과 인내로 신실하신 하나님의 약속을 의지하는 것입니다.
그러한 성도에게 ‘열매’는 하나님 백성이 받을 ‘필연적인 축복’입니다.
돌아가는 길이라도, 예상치 못한 위기를 만나더라도, 걱정과 두려움이 앞을 가로막는 것 처럼 보여도
우리는 헤쳐나갈 힘을 주고 용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반드시 하나님은 우리를 축복하시는 분이기 때문입니다.
이삭은 그 열매와 축복에 대해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어려운 길을 믿음과 인내로 헤치고 ‘브엘세바’ 즉 ‘약속의 우물’에서 하나님을 찬양하고 열매맺는 인생이 됩니다.
제목 | 날짜 | 조회 수 |
---|---|---|
사랑을 받는 자녀 같이 | 2022.12.17 | 60 |
먼저, 그리하면, 그러므로 | 2022.12.17 | 48 |
발람의 교훈(3)-죄의 무지 | 2022.10.23 | 148 |
발람의 교훈(2)-회칠한 무덤 | 2022.10.15 | 118 |
발람의 교훈(1) | 2022.10.15 | 63 |
쉼에 대한 묵상3-안식일의 주인 | 2022.10.15 | 64 |
쉼에 대한 묵상2-첫 열매 | 2022.10.15 | 61 |
여호와께서 넓게 하셨으니(3) | 2022.10.15 | 70 |
여호와께서 넓게 하셨으니(2) | 2022.09.16 | 83 |
여호와께서 넓게 하셨으니(1) | 2022.09.15 | 93 |
내가 그라하시니라(2) | 2022.08.27 | 66 |
내가 그라하시니라(1) | 2022.08.27 | 117 |
한 여자와 한 바리새인 | 2022.08.27 | 98 |
영광을 얻을 때 | 2022.08.27 | 67 |
쉼에대한 묵상1-안식일 | 2022.08.27 | 87 |
편견없는 신앙 | 2022.07.23 | 115 |
그리하면 | 2022.07.23 | 92 |
병든 인생의 치료법 | 2022.07.23 | 72 |
그분이 오신다 | 2022.07.03 | 78 |
전도여행 | 2022.07.03 | 89 |